산업안전보건교육 시간
산업안전보건교육 시간과 온라인(모바일) 수강🚦
법정의무교육 과정 중에서
교육시간도 가장 많고
교육횟수도 가장 많으며
교육 종류도 많은
산업안전보건교육
2분기 교육 받으셨나요?
아직이라면 교육 만족도가 높은
산업안전보건교육 온라인(모바일)
수강으로 하세요^^
고용노동부 지정 위탁교육기관에서
신청하고 교육받을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산업안전보건교육 시간과
온라인(모바일)수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 - 산업안전보건법 제29조
사업주는 소속 근로자에게 정기적으로 안전보건교육을 하여야 한다.
법정의무교육이
관련 법에 따라 기업에서
받아야 하는 교육이기 때문에
모든 교육과정은 관련 법으로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오늘 알아보는
산업안전보건교육도 관련 법인
산업안전보건법에 근거하여 실시하는
필수교육으로
5인 이상 사업장 소속 근로자가
교육 대상이며 사업주는 제외됩니다.
* 5인 이상 사업장이라도 제외 업종이 있으니
상담을 통해서 알아보세요~~
산업안전보건교육 종류 4가지
일부 제외 업종이 있지만
5인 이상 사업장에서 실시해야 되는
산업안전보건교육은
근로자 정기교육
채용 시 교육
작업내용 변경 시 교육
특별교육 등 4가지로 구성되었으며
각 교육과정마다 교육시간이 다릅니다.
* 오늘 알아보는 내용은
근로자 정기 산업안전보건교육입니다.
근로자 정기 산업안전보건교육 시간
근로자 정기 산업안전보건교육 시간은
직종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는데요
사무직과 판매업 종사자는
연 4회, 매분기 3시간 이상(연간 12시간)
그 외 종사 근로자는
연 4회, 매분기 6시간 이상(연간 24시간)
그리고 관리감독자는
연간 16시간 이상 교육받아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분기마다(연4회)
반드시 교육을 실시해야 하는 점입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 시간 면제
전년도 무재해 사업장은
당해 연도 근로자 정기교육시간의
50%를 면제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재해 사업장은
근로자 정기 산업안전보건교육 시간이
사무직, 판매업 매분기 1.5시간
그 외 근로자 매분기 3시간
관리감독자 연간 8시간으로 줄어듭니다.
산업안전보건교육 과태료
법정의무교육 미실시는 법률위반
분기마다 실시해야 하는
근로자 정기 산업안전보건교육을
실시하지 않거나, 교육받지 않으면
법률위반이 되며
교육 실시 의무가 있는 사업주에게
최대 5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분기마다 실시해야 하며
적게는 3시간, 많게는 6시간을
교육받아야 하는 산업안전보건교육
한 자리에 모여서 받는
오프라인 집합교육을 하실 건가요?
아니면
시간과 장소 제약이 없는
온라인(모바일, PC)으로 하실 건가요?
효율성과 만족도를 고려한다면
당연히 모바일과 PC로 언제 어디서나
자유롭게 강의를 수강할 수 있는
온라인이 좋습니다.
참고로 지난 3월 2일부터
개정 안전보건교육규정 적용으로
산업안전보건교육 모바일 온라인
수강도 가능해졌습니다.
그러니 이왕이면
산업안전보건교육 온라인 강의로
보다 편하게 교육 받으세요^^
산업안전보건교육과
그 외 법정의무교육 온라인 신청은
고용노동부 지정 위탁기관에서
할 수 있으니 교육상담받고 신청하세요^^
평소 궁금했던 법정의무교육과
산업안전보건교육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